▲ 김영선 독거노인생활관리사

봄 소식과 함께 조문갈 일이 잦아졌다.

이미 예견된 일이지만 한국은 곧 다사사회에 진입한다. 출생보다 사망이 많은 사회로의 전환이다. 채 1명에도 못미치는 충격적인 출산율은 미래를 암울하게 한다. 베이비부머의 고령화는 또 죽음에 대한 다른 사회현상으로 올 것이다.

문제는 홀로 떠나는 외로운 죽음이 늘어나고 있다는 데 있다. 가족해체를 부추기는 사회구조. 자녀가 있어도 혼자 사는 게 당연시되는 사회다 보니 죽음도 홀로 맞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지금 일본에선 그 대응전략이 한창이다. 최근 시대화두로 떠오른 종활(終活)이라 불리는 죽음준비가 대표적이다. 특이한 건 자발적인 준비활동이란 점이다. 자녀가 부모사망에 대비해 상조에 드는 한국의 일반적인 세대부조 차원과 다르다. 본인 장례를 비롯, 사후정리를 스스로 준비한다.

우리는 어떨까. 아직 고독사망의 정확한 통계가 없다. 제대로 따지면 외로운 죽음은 상당수일텐데 죽음을 멀리 하려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그 통계를 얻기조차 쉽지 않다. 가족 없는 죽음은 사각지대에 방치된다.

이제 우리도 죽음에 대한 대응을 ‘가족’에서 ‘사회’로 바꾸어야 한다. 개인적 죽음에 사회적 대응이 합쳐질 때 사회비용 감소는 물론 인권존엄은 강화된다. 해체되는 가족관계에 의존하기보다는 사회시스템인 지자체가 나서야 한다.

일본의 경우 일부 지자체의 대응이 주목된다. 독거노인에 한해 지자체가 연명치료를 포함, 다양한 사전합의를 진행한다.(요코스카시·2018년). 가족유무와 무관하게 누구든 안심하고 집에서 죽음을 맞이하자는 구조다.

대만의 경우 2012년부터 4대 도시에서 장례발생 때 유족비용을 없앴다. 가족·경제상황에 따른 차별없는 죽음대응이다.

가족이 없어도, 돈이 없어도 외롭지 않게 이승소풍을 마무리하는 게 필요하다. 우리도 이제 죽음의 사회화를 준비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산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