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행인 류종철

우리나라의 정치적 특징은 여러 가지로 표현된다. 그 중 하나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많이 퇴색 되어있지만 여전히 출생지역을 따지는 지역주의가 대표적이다. 출생지가 서산이 아니면 정치적으로 서산에서는 미아가 되는 현실은, 이제 타 지역 출신들이 시민 전체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현실에서, 보다 나은 지역사회의 미래를 위해서는 극복해야 할 걸림돌이다.

학연이나 소지역주의에서 벗어나 오히려 여러 가지 연줄에서 자유로운 타 지역의 능력있는 인물을 초대, 추대하는 지방자치의 선진국 일본의 예를 타산지석으로 삼을 필요도 있다. 공직자의 선출에서 그 사람의 능력보다 출생지를 지나치게 따지는 정치행태의 변화를 기대해 본다.

또 다른 특징 중 하나가 보스 정치다. 3김으로 통칭되는 보스 중심의 정치는 그 보스들의 지역주의와 맞물려 우리 정치사에 엄청난 위력을 발휘하였고 그 뿌리는 지금까지도 우리 정치에 큰 행태로 남아 있다. 그러나 이미 3김은 갔다. 그들을 추종하던 세력들은 뿔뿔이 흩어져 새로운 세력으로 이합과 집산을 반복한다. 만약 그들이 정치적 이념이나 추구하는 가치가 같아서(물론 민주화의 열망 등 공유하는 가치는 분명 있었다) 모였던 계파라면 지금까지도 같은 조직으로 남아 같은 가치를 추구할 텐데, 그 들은 각자의 길을 가고 있다.

오로지 이념이나 가치관이 아닌 본인들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조직에 몸담았다는 이야기에 다름 아니다. 그러므로 이념 중심이 아닌 사람, 즉 보스 중심의 패거리 정치 행태는 독재에 투쟁하던 시대에서의 일사분란함이란 순기능으로 족하다. 이제 보스 중심의 정치란 패거리 정치의 다른 이름으로, 우리가 극복해야 할 좋지 않은 정치유산이다.

한참 친이와 친박이 보수 정치판을 지배하더니 진보진영에서는 친노와 반노가 진보진영을 나누는 패러다임이었다. 나는 이 모, 박 모 전직대통령의 성씨의 다름 이외에 친이계와 친박계의 이념적 차이를 알지 못한다. 친노와 비노도 한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호, 불호 이외에 이념적 차이는 너무나 모호하다. 이제 그들의 시대도 갔다. 여전히 군주를 위해 목숨 바쳐 보필할 듯하던 충신의 모습을 보이는 이들도 있지만, 대부분은 각자 이익을 쫒아 제 갈 길이다. 여기에는 이념은 고사하고 최소한의 예의나 체면도 없는 경우가 너무나 많다.

더불어 민주당 시절 친문과 반문의 역사를 거쳐, 계파 청산을 명분으로 반문들이 모여서 만든 국민의당이 탄생했고, 이념의 차이보다는 계파주의 타파를 명분삼아 만든 국민의당은 아이러니하게도 친안계과 반안계라는 단어가 그 들의 구성원을 표현하는 상징이 되었다.

언론조차도 이런 보스 중심의 퇴행적 용어를 무비판적으로 사용한다. 모두가 최면에 걸린 듯 그렇게 친문계, 친안계는 우리의 사고를 마취시키고 정치적 판단력을 무디게 한다. 정치인들의 책임이 크다. 언론의 책임이 크다. 그러므로 국민들의 정치적 혜안이 필요하다.

신한국당이 탄핵이라는 어마어마한 파도를 넘으며, 환골탈태를 위해 자유한국당으로 개명을 하면서 국민에게 내세운 새로운 개혁에도 친박계나 친이계를 청산하고자 하는 정치적 패러다임의 개혁은 온 데 간 데 없고, 친이계와 친박계를 완벽하게 재현한 친홍, 비홍, 반홍이라는 새로운 계파가 우리를 절망케 한다.

왜 우리는 정치적 신념의 정치적 동질성보다는 주군을 향한 패거리만 좆는가? 국민은 안중에도 없고 현재 힘 있는 보스를 쫒아 신의마저 팽개치는 정치판의 행태는 언제 나아질 것인가? 유권자의 부릅뜬 눈이 절실히 필요한 때다.

노파심에 지역 정치의 계파주의를 경계한다. 지역위원회의 특정 인물 중심의 친목 모임화를 경계하면서, 민주당,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정의당 모두 각자의 정치적 동질성의 정당 구조 안에서 지역 현안의 의제화와 정책적 대안 제시로 멋지게 경쟁하는 아름다운 지역의 정치를 서산에서 구현해 보자고 제안하고 싶다. 진보나 보수의 문제를 떠나, 타 지역의 변화를 선도하면서, 새로운 지역정치의 개혁을 이끄는 멋진 정치판, 우리는, 서산은 할 수 있다는 공감대와 그 정신을 공유하자.

이제 그 축제의 시간, 지방선거가 다가오고 있다. 지역정치의 패러다임의 변화, 우리의 의무이고 또한 숙제다.

저작권자 © 서산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