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움 속에 아픔이 있는 웅도 ‘유두교’의 눈물-②】

서산시 대산읍 웅도리 ‘유두교’
서산시 대산읍 웅도리 ‘유두교’

서산시 가로림만 웅도리. 이곳에는 주민들이 드나드는 유일한 다리 유두교가 있다. 하루에 두 번 물이 빠져야 비로소 건널 수 있도록 출입을 허락해 주는 유두교.

웅도리 주민들은 길이 500m, 5m에 가드레일을 설치한 콘크리트 포장 다리 유두교를 건너다니며 삶의 터전을 일궜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모개섬과 웅도를 잇는 것은 다리 대신 징검다리와 돌다리였다.

돌살형식으로 큰 돌을 쌓아 물때에 맞춰 사람이 통행하던 때에는 외부에 나갔다가 미처 물살을 피하지 못하고 휩쓸리는 사고를 당한 적도 많았다고 했다. 현재 웅도는 서산시 4개 유인도서 중 유일하게 진입로에 폐쇄형 유두교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해수소통이 차단돼 갯벌퇴적 및 수산생물 감소 등 생태환경 문제가 야기됐다.

몇 해 전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총사업비 250억 원을 투입해 진행하는 웅도 갯벌생태계 복원사업(그린뉴딜사업)에 선정되면서 웅도로 들어가는 폐쇄형 유두교를 개방형 교량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 해수를 소통시킴으로써 생태계에 활력을 불어넣는다는 방안이다. 웅도 갯벌생태계 복원사업으로 과거 갯벌로의 복원은 물론, 수산자원 증대 및 생태관광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됨과 동시에 주민들의 애환이 가득한 유두교도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본지는 웅도로 들어가는 유일한 다리이자 생명의 다리, 아름다움 속 아픔의 다리 유두교가 역사의 한 획으로 사라진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주민들의 아픔과 애환을 담아 역사에 남긴다.

_편집자 주-


물이 빠진 현재 웅도 유두교
물이 빠진 현재 웅도 유두교

견우와 직녀를 연상케 했던 웅도다리...“발만 동동 굴렀지

 

올여름은 유난히 습윤폭염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물때에 맞춰 웅도로 가는 길은 한산했다. 물 먹은 것처럼 온몸이 무겁고 가만히 있어도 땀이 줄줄 흘렀다. 필자로서는 어쩌면 다행인지도 모른다. 섬 주민들에게 물어볼 말이 많았기 때문이다. 날이 좋고 물때가 맞으면 조개를 캐기 위해 조도 섬으로 들어갔을 수도 있으니 말이다. 그런데 폭염에 조개 캐기란 언감생심이 아닐 수 없다.

전날 미리 약속한 곳으로 주차를 시키고 인사를 드렸다. 몇몇 주민이 자식을 맞아주듯 반갑게 자리를 권했다. 일상적인 얘기를 두런두런 나누다 조심스럽게 유두교에 얽힌 사연을 꺼냈다. 잠깐 적막이 흐르더니 한 분이 딸 이야기를 꺼냈다.

가장 고마운 건 뭐니뭐니 해도 우리 애들이었어. 다리가 있다 해도 물때 보고 그 시간에 맞춰 학교 다니느라 고생 많았지. 지금처럼 제대로 된 다리가 세워졌다면 경제적인 부분도 좀 더 수월했을 테고. 옛날에야 워디 (해산물이 있어도)제대로 된 판로가 있었나. 그저 먹고 살기 위해 바둥바둥 했지. 그러다 보니 새끼도 제대로 못 가르쳤어.

입학 시기 놓쳐서 보니 9살 먹었더라고. 애는 창피하다고, 학교 안 간다 울고불고 난리고. 결국 자기 오빠가 강제로 끌고 가서 학교에 넣었지. 그렇게 하고 애들 키웠어. 우리도 자식들도 다 고생 무지하게 했지. 그렇게 하고 초등학교 졸업시켰다고.

그런데 이제 중·고등학교가 문제여. 섬에는 없잖여. 초등학교만 보내고 나면 다들 자식을 떠나보내야 했지. 자취를 시키든 하숙을 시키든. 주로 조모가 손주 밥 해먹인다고 같이 나갔어. 자식 분가시키는 마음으로 바리바리 짐 사 들고 다리를 건너다녔다고. 그 다리가 튼튼하기는 했나? 좀 무겁고 (징검다리)잘못 밟으면 그냥 중심 잃어서 곧잘 물에 빠지곤 했지. 개갈 안 났어. 그래도 지 부모라고 꼬박꼬박 섬에 들어왔어.”

담담히 말하는 어르신 너머로 빈 선풍기가 연신 소리를 내며 돌아가고 있었다. 부모님 품을 떠나 낯선 외지로 나갔던 학생들이 빈 반찬통을 챙겨 그리운 집으로 돌아가는 모습은 보지 않아도 알 것 같았다.

주민의 말을 듣고 있던 또 다른 A씨가 말을 이어받았다. “당시는 토요일도 오전수업을 했어. 선생님들이 어디 우리 애들만 생각하고 보내 주간. 어림없지. 주말에 우리 애들이 올 시간에 물때가 안 맞으면 부모는 위험하다고 오지 말라고 하고, 애들은 보고픔에 눈물 흘리고. 그러면 서로 발만 동동 구르며 훌쩍훌쩍 우는 거지. 견우와 직녀가 따로 없잖여. 그 모습만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아퍼. 우리 그렇게 험한 세월을 견뎌냈지.”

어르신 말에 의하면 당시 겨울은 워낙 센 바닷바람에 물이 빠지기를 기다렸다가는 어린 피부가 그대로 터져버릴 정도로 한파가 거셌다고 했다. 다시 돌아갈 버스는 없고 그렇다고 집에 오지도 못하는 시간들. 분위기가 숙연했다.

돌이켜 봐도 가로림만 내해 정중앙에 자리하고 있는 웅도는 지난해 겨울, 한파가 지속될 경우 최저기온이 자그마치 영하 12도와 영하 13도를 기록하기도 했던 곳이기도 하다.

주민들의 숙원사업은 웅도에 연륙교가 놓이는 것이었다. 
주민들의 숙원사업은 웅도에 연륙교가 놓이는 것이었다. 

어서 빨리 저 다리를 건너 뭍으로 나가야것다

 

주민 A씨의 말에 B씨도 공감하며 자식에 대한 미안함을 토로했다.

여기 분교는 지금은 폐교됐지만, 당시는 학생 수만 50명도 더 넘었을 거여. 가구 수는 그렇게 많지 않더라도 한 집에 보통 여섯 일곱 명이었어. 이곳 학교는 연년이 뽑는 게 아니고 격년제로, 1학년 하고 건너뛰고 다시 뽑고, 그다음 해 또 1년 건너뛰다가 또 뽑고. 그렇게 해서 네 개 반이었어.

어떤 놈들은 일곱 살에 들어가는 놈도 있고, 어떤 놈은 열 살에 들어가는 놈도 있었는데 자기가 들어갈 해에 못 들어가면 또 건너뛰어야 하는 순서였어. 그때가 벌써 60년이 넘었네. 육성회비 내던 시절이었잖여. 돈이 어딨나. 해산물이 있다 해도 판로가 없었고 말여. 그러니 공책 하나 사 줄 수 없어 (학교)못 들어가는 학생들도 있었어.

그 애들이 갈 때가 어딨어. 달려가서 애먼 돌다리만 바라보며 어서 빨리 저 다리를 건너 뭍으로 나가야것다 생각혔것지.” 돌다리가 물에 잠기면 물이 어른어른 거려서 그제사 훌훌 털고 집으로 돌아왔을 거이고.

오면 공부할 시간은 어디 있간디. (조개까는 일을)어른들만 할 수 있나. 조그마한 놈들한테도 조개 까는 칼을 하나씩 다 지어줘. 까다가 졸면은 그 칼자루로 탁탁 얻어 터져가면서 깠지. 그럼 정신 바짝 나서 또 까고. 그렇게 얻어맞아 가면서 산 세월이었어. 섬에 살면서 안 그런 집은 드물거여.

유두교만 건너서 뭍으로 가버리면 더는 바다 일도 안 할 텐데하는 마음은 있었지만, 속상해서 나간다고 하면 또 얻어터지니까 꼼짝없이 (조개)까야 했지.

그때는 조개만 깔라고 칼만 들면 왜 그렇게 졸립던지. 고생들 많이 했어. 지금이니께 먹을 게 천지고 여기저기 많지만, 그 당시에는 배고파서. 보리밭에 들어가 보리검배기 그거 뽑아선 먹고 그랬다니께.”

그 옛날 웅도 주민들이 건너다니던 생명의 돌다리를 주민 C씨는 이렇게 회고했다. 그는 손을 들어 세세하게 돌을 쌓는 시늉해 가며 설명했다.

이렇게 또 이렇게, 이렇게~ (돌을)쌓아서 높이를 높이지. 그런데 이놈 깨딱하면 바람에 (돌이)널러간단 말여. 바람이 그러면 (돌 사이로)쑥 들어가 (돌이)퍼져. 퍼지면은 다시 가서 또 올려놓고 다니고. 글로 쓰라면 몇 날 며칠이고 쓸 테지. 할 얘기가 아주 많어.

내가 열댓 살 먹었을 때였지. 나무하러 (돌다리)건너가서 나무를 까치집만큼 해 갖고 오다가 징검다리를 건너는데 그만 바람이 부는 바람에 돌다리에서 넘어졌어. 나무지게가 물에 그대로 빠쳐버렸지. 젖은 그놈을 주섬주섬 엮어 갖고 짊어지니 얼마나 무겁겠어. 나는 그렇게 고생해가면서 나무하러 다닌 적이 최고로 기억이 남아. 그때도 여기 못 살겠다 싶더만 워쩌겠어. 세월이 흐르고 나는 여기 살고 있네.”

죽음을 무렵 쓰고라도 그 다리를 건너오는 거여

 

그에게 또 기억나는 게 없냐고 묻자 그걸 어떻게 말로 다 혀.

주민 D씨는 한숨을 쉬며 어느 날인가 난간 없는 교량이 설치되면서 많은 사람이 바다에 휩쓸려갔다고 했다.

여고생 세 명이 인간 띠가 되어 건너오다 물살에 떠밀렸어. 그중 둘은 건졌지만 한 명은 안타깝게 목숨을 잃었지. 보고 싶은 아버지, 엄마 보러 왔다가 일요일날 (자췻방)갈 거였는디.

저 다리가 말여. 지금이사 잠기는 시간이 3시간 반이나 되지만 그때는 6시간이 됐다고. 다리가 얕아서 말여. 애들이 3시간도 기다리기 어려운디 6시간을 어떻게 기다리것어. 못 기다리지. 사람 기다리는 거와 물 기다리는 게 최고 답답한 거여. 그러니 죽음을 무렵 쓰고라도 다리를 건너오는 거여. 위험한 걸 왜 모르겠어.

그래도 가족들은 목숨 붙어 있으니께 사는 거지만 그 속은 얼마나 문드러졌겠어. 진짜 가슴 아픈 얘기여. 이제 잊었다고 한들 자식 잃고서는 아프지 않은 사람 어딨것어. 그것도 다 커 가지고....(한숨). 어차피 중학교부터 (웅도)섬에서 나가는 저 다리(유두교)를 건너면 영원히 떠나는 거지 뭐.”

웅도 유두교는 아픔의 다리라는 주민들
웅도 유두교는 아픔의 다리라는 주민들

인간 띠 되어 건넜던 유두교...“놓치지 말고 꼭 붙들고 건너자

 

대산에서 태어나 8살인 1951년에 조부님과 부모님을 따라 개울을 건너 웅도 섬으로 이사왔다는 주민 E. 차가 없어 머리에 이삿짐을 이고, 허리에 지며 몇 날 며칠을 옮겼다고 했다. 석유, 양식, 생활용품을 대산읍에서부터 이곳 웅도까지 물살을 피해가며 간신히 옮겼다는 주민.

당시 겨울에는 물발이 세거나 성에가 끼면 유난히 추워 웅도 섬이 온통 얼어붙었어. 얼음장이 자그마치 집채만 했지. 그게 무기가 되기도 했어. (얼음장)밀어닥치면 건너다니는 다리가 그대로 허물어질 수도 있었거든.”

한파로 웅도 바다가 얼었다.  
한파로 웅도 바다가 얼었다.  

당시 얘기를 들려주시는 어르신에게 웅도 다리에 관한 아픈 기억을 묻자, 잠시 망설이더니 떨리는 목소리로 가슴을 쓸어내리며 겨우 입을 여셨다.

부모 떨어져 외지에 나가 살았던 고등학생 우리 큰딸이 음력 동짓달 추울 때 친구들 셋과 집으로 오게 됐어. 거기서 세 애가 오다 보니 유두교에 물이 들어오더래. 지금 현재 이 다리야. 그때는 좀 얕았지. 난간이 없을 때였어.

지금 여기서 못 건너면 도로 어디 가서 자고서 6시간 기다려 밤에나 와야는디 애들 욕심은 그게 아니거든. 집이 바라보이는디 도로 원위치할 수는 없거든. 그러니께 세 애가 야 우리 셋이가 놓치지 말고 꼭 붙들고 (건너)가자바람은 쳐 불고 그랬는디 동짓달이면 겁나 춥지.

세 명이 붙들고 오다가 그만 물살에 휩쓸렸는디 그 얘기는 눈물 없이는 못혀. 하나는 갱신히 살고. 우리 딸은 생각지도 못했는디 옷이 대각대각 언 상태로 막 울면서 오더라고. 친구 둘이는 어떻게 됐는지 모르겠다는 거여.

주민들 다 연락해서 보니 결국 하나는 가까스로 살렸는디 하나는 못 살리고 그냥 이별하고 말았지. 그렇게 하다가 졸업해서 산 애들은 지금 시집가서 자식 낳고 잘 사는디 잘못된 애는 이날 이때까지…….

이 사건으로 학교 선생들 다 집합했어. ‘다음에는 웅도에서 학교 입학하는 애들 있으면 토요일은 무조건 물때 맞춰 (집으로)보내라 했지.”


웅도 주민들
웅도 주민들

웅도갯벌생태계 복원사업으로 철거될 예정인 유두교. 많은 사람은 아름다운 유두교가 사라지기 전에 인증사진을 남기느라 연일 웅도를 찾고 있다. 하지만 유두교는 신비롭고 아름답기 이전에 아픔의 다리다.

어느 주민은 한 집에 둘이 아니라 한 집에 세 명인가도 죽었어요. 나가지 말라고 했거든요. 근데 좀 있으니까 막 야단 난 거야. 가니까 파도에 차가 넘어갔지 뭐예요. 일가족이 다 (물살에)떠밀렸더라고. 위험하다고 나가지 말라 했는데 차 끌고 나가다가 그만. 일가족 중 어른 한 분만 건져오고 세 명은 이미 늦었더라고요. 다 죽었지. 겨울이니까 추워서 건지기가.”

 

이 취재는 2023년 충청남도 지역미디어 육성 지원사업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저작권자 © 서산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