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우 동문동

지난 1월 25일 서산시에서는 도시재생 전문가들이 참석해 서산의 쇠퇴한 원도심의 도심환경을 개선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의견을 피력했다.

시는 이번 공청회를 통해 도시 경쟁력을 강화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추진 동력을 마련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는 판단이다. 또한 시는 도시재생전략계획안에 대한 주민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검토·반영할 계획이며, 이어 시의회 의견의 청취와 관련부서 협의 등의 절차를 거치고 충청남도에 승인을 신청해 올해 상반기까지 도시재생전략계획안을 확정할 방침이라고 한다.

도시재생. 사실 도시재생이란 인간, 문화, 생활의 재생이란 뜻을 내포하는 포괄적 의미로 접근해 볼 수 있다.

우선 인간중심의 재생이란 자존감(dignity)의 회복이다. 또 문화의 재생이란 생활문화의 재생이고 생활의 재생이란 골목경제의 부흥(復興)이다. 일명 걸맞지 않은 양복을 차려 입은 귀족문화가 아니다.

무엇보다 쇠퇴한 원도심의 활성화를 주제로 논의되는 근간의 논리를 보면 공간의 변화에 매몰되어 또 다른 개발논리에 매몰되어 왔던 것이 현실이다.

도시재생은 개발주의자 논리를 앞세워 서두르면 망친다. 특히 행정의 단기 성과주의, 단체장의 과시욕구, 주민들의 이기주의가 합작하면 필패다.

두 번째로 간과해서 안되는 것은 주민이 중심, 사람이 중심이어야 한다. 주민이 주체가 되고 행정, 활동가, 지원그룹의 조화로운 협치적 관계가 형성되어야 한다. 행정이 먼저 나서는 도시재생은 금기다.

또한 도시재생은 지속성의 믿음이 있어야 한다. 재생사업이 얼마나 관심 속에 지속하고 오래 유지될 것인가 하는지에 대한 주민들과의 신뢰가 핵심이다. 사업의 초창기, 중반기, 성숙기의 역할 배분에 대한 상호공감대가 필요하다. 주민자립의 비전 속에서 약속과 역할분담을 협약이나 협정을 통해 분명히 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여기에 정치논리는 배제되어야 한다. 재생사업에 정치논리가 앞서면 필패다. 재생사업은 어디까지나 주민들이 중심이 된 마을만들기의 민주적 과정이다. 물론 예산확보와 입법지원 등 다양한 정치적 지원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그 공은 주민의 것으로 돌리는 성숙한 정치적 지원이어야 한다.

결론은 도시재생은 공간보다 사람에 주목해야 한다. 사람이 자산이다. 그럴수록 기본을 바로 세워야 한다. 원칙도 갖춰지지 못한 상태에서 재생의 진화를 얘기하는 것은 기교일 뿐이다.

저작권자 © 서산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