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언론문화연구원, ‘초연결사회에도 기자실은 유효한가’ 세미나

지금 충남도청은 기자실을 놓고 갈등 중이다. 충남도가 기존 폐쇄형 기자실을 개방형 통합브리핑룸으로 전환하려하자 지금까지 기자실을 독점해온 일부 기자단이 이를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갈수록 고도화되고 있는 쇼셜미디어 시대에 정부 부처와 지방정부에 있는 기자실의 사회적 가치와 효능을 따져보는 논의의 장이 마련됐다.

대전언론문화연구원(이사장 정재학)은 25일 오전 10시 대전세종연구원 2층 대회의실에서 ‘기자실 개방, 시대적 흐름이다'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김재영 충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초연결사회에도 기자실은 유효한가'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언론과 뉴스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진단을 통해 기자들 취재·보도 활동을 하는 거점인 기자실의 유효성을 탐색했다.

김 교수는 “초연결 사회로 미디어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며 대표적 사례로 ‘1인 미디어 현상'과 ’전문가주의 퇴조'를 꼽았다.

그는 “‘1인 미디어' 현상은 개인이 온라인 공간과 현실세계에서 주체로 부상한 전형으로 이는 ’소셜미디어(social media)'로 집약된다"며 ”이 때문에 굳이 블로그나 인터넷신문을 운영하지 않더라도 이슈에 관한 의견 개진을 통해 표현자유의 외연이 대폭 확장됐다"고 말했다.

이어 “개인이 네트워크로 연결되면서 전문가주의는 확연한 퇴조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다수의 집합적 힘이 손쉽게 결집되면서 ‘집단지성'과 ’크라우드소싱'(대중과 아웃소싱의 합성어)과 같이 개별 전문가보다 협력적 네트워크가 우월한 성과를 거둔다는 사실이 입증된 덕분"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뉴스·정보의 생성·공유·확산이 일상화된 환경에서 시민이 알권리를 행사하는 데 굳이 기성언론을 경유할 필요가 없다"며 ”기자실이 언론자유 증진과 연관된 사안이라고 볼 만한 근거가 전혀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자실이 ‘시민의 알권리 충족'을 위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기자실이 폐쇄된 이후 홍보성 관급기사, 단순 사실전달 기사는 감소하고 비판성 기사, 기획취재 기사는 늘었다는 연구 결과가 많다"고 소개했다. 이어 ”오히려 기자실을 경유한 관급기사가 언론의 위기를 초래한 요인 중 하나"라며 “관행으로 고착된 기자실의 폐쇄가 언론의 활로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시민은 물론 언론사 입장에서도 기자실을 유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실익이 전혀 없다"며 “기자실에 집착하지 말고 개방형 협업을 통해 언론자유를 적극 실천하고 국민 알권리의 구현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토론에 나선 양선희 대전대학교 글로벌융합창의학부 교수는 “기자실이 누구를 위해 왜 존재해야 하는지에 대한 원론적 질문을 하게 된다"며 ”저널리즘의 기능에 순기능을 주기 보다는 취재원과의 유착이나 불필요한 유대강화 등 폐해가 많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이기동 대전충남민언련 사무국장은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기자 개인뿐만 아니라 소속 언론 사주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기자실 전환만의 문제가 아닌 시민의 알권리 측면에서 공론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분석과 해석 등 심층 보도 등 독자의 신뢰를 받는 취재보도를 위해서는 오히려 기자실을 박차고 나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찬욱 한국기자협회 정책기획 단장은 “지적한 여러 기자실의 폐해에 공감한다”면서도 “기자실을 없애기보다는 출입처별로 기사를 쓸 수 있는 공간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자격을 갖추지 못한 기자에게 까지 기자실을 개방했을 경우 여러 부작용이 예상된다”며 “이에 대한 대책 마련도 요구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각 언론사가 출입처 제도를 고수하고 있고, 광고비 문제 등 보이지 않는 언론 환경도 기자실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어렵게 하는 요인”이라며 “때문에 자격을 갖춘 언론사에 한해 기자실을 개방하는 등의 현실적인 취재 환경을 고려한 개선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는 대전충남지역에서 발행되는 인터넷 신문인 <굿모닝충청>를 통해 생중계됐다.

저작권자 © 서산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