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허당(聚虛堂) 한기홍의 서산갯마을

 

▲ 한 기 홍(향토사학자)

조운선의 대표적 난행처로 알려진 곳인 안흥량(安興梁)은 좁게는 안흥 앞바다를 일컫는 말이지만 넓게는 태안군에 접한 바다 전체를 의미한다. 『조선왕조실록』에 안흥량(安興梁) 400리 뱃길 이라는 구절로 미루어 보건데 일반적인 견지에서는 안면도 영목 앞바다에서 방이도 앞바다를 넘어 대산의 황금산 앞까지의 넓은 바다를 일컬었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는 안흥량(安興梁), 명량(鳴梁), 노량(露梁) 사량(蛇粱), 견내량(見乃梁), 칠천량(漆川梁), 화량(花梁) 등 량(梁)자가 들어가는 익숙한 지명이 많다.

그런데 량(梁)이 뜻하는 바는 육지와 육지 사이 또는 육지와 섬 사이 그리고 섬과 섬 사이의 좁은 해협을 일컫는다. 그러므로 정확하게는 안흥과 신진도 사이 또는 지금은 안흥신항 건설로 연결된 신진도와 마도 사이 그리고 파도리와 가의도 사이(현재 관장항 또는 관장목으로 불리우고 있음)의 해협이 안흥량(安興梁)인 것이다.

그런데 태안 앞바다 전체를 포괄하는 넓은 의미의 안흥량(安興梁)이 탄생하게 된 이유는 난행량이라 불리우던 태안 앞바다의 쌀썩은여(안면도 신야리 앞바다), 안흥량(안흥과 신진도 사이), 관장목(소원면 파도리와 가의도 사이), 방이도 주변(방이도와 학암포 사이)의 험로를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기원하는 뜻에서 그 이름을 난행량에서 안흥량(安興梁)으로 고쳐부르면서 상기한 4곳의 험로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안흥량(安興梁)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안흥량(安興梁)의 항로는 원산도를 지나 안면도 외해에 해당하는 안면도 신야리 앞바다의 쌀썩은여를 거쳐서 거아도를 경유하여 안흥진성 앞의 안흥량(安興梁) 험로를 지나면 곧바로 관장목이라 일컬어지는 험로가 나타나는데 태안군 소원면 파도리와 가의도 사의의 해협을 일컫는다. 이곳은 지금의 동력선으로도 통과하기 어려운 험로이다. 파도리 앞의 꽃섬을 비롯한 아주 작은 섬과 사자바위를 비롯한 초 그리고 조수간만의 차로 나타나는 암초가 산재해 있다.

그리고 조류는 밀물시에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고 썰물시에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데 그 정도가 심해서 아래의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물의 고저차를 확연하게 느낄 수 있을 정도이다. 그리고 간신히 관장목의 험로를 통과해도 방이도 앞바다의 안개와 모래톱의 험로가 기다리고 있다.

서해바다에서 바람을 동력으로 하는 범선이 항해하는데 있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첫째가 바람의 세기와 방향이고, 둘째는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류이며, 셋째가 해류이다. 실질적으로 서해바다는 태평양 상의 아주 작은 만에 불과하므로 해류의 영향은 크지 않다. 그러므로 서해상의 태안 앞바다 안흥량을 운항하던 조운선은 바람과 조류의 영향을 살펴 운항했던 것이다.

조운선은 대략 1,000석 내외를 싣고 운항했는데 화물선 역시도 화물차와 같이 적재량에 따라 운항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몸이 가벼울수록 돌발상황에 대처하기가 쉽듯 조운선 역시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물길을 정확하게 알고 있어야 안전운항을 담보할 수 있었다. 그래서 모든 조운선은 원산도에서 점검을 받고 또다시 안흥에서 점검을 받은 후에 한양으로 갈 수 있었다.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많은 시도가 있었지만 그래도 안흥량은 조운선의 최대 좌초지로 악명을 높였다. 안흥량에서 계속되는 조운선의 좌초는 당시 조정에서의 고민거리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나타난다.

그 해결방안의 하나가 천수만과 가로림만을 운하로 뚫는 운하개착의 안이었다. 운하개착의 안은 고려시대에 시도되는데 바닥에서 화강암반이 나와 당시의 도구로는 운하개착이 불가능하여 실패한다. 이어서 조선에서는 고려때 뚫고자 했던 노선에 여러개의 땜을 쌓은 후 작은 선박으로 릴레이하듯 세곡미를 운반하고자 했으나 번거롭기만하고 효용이 없어 실패한다. 이에 조정에서는 고려시대에 시도했던 노선 바로 옆으로 댐의 규모를 확대하고 각 댐의 끝에 창고를 지어서 릴레이 하듯이 운영해보고자 시도했지만 이 방안 역시 중도에서 중지되기에 이른다. 결국 서산과 태안의 경계부근에 굴포운하를 개착하려던 시도는 모두 실패하고 운하개착지를 태안군의 의항(무너미재, 일명 물너미재)쪽으로 변경하여 시도했다. 안흥량 중에서도 가장 험한 곳은 관장목이므로 이 노선은 넓은 의미의 안흥량 전체를 피하고자 했던 굴포운하와는 달리 오직 관장목만을 피하기 위한 시도였다. 문헌기록상으로는 본 운하가 완성되어 표창한 기록이 있는데 어찌된 일인지 무너미재에서 운하를 뚫고자 한 흔적은 발견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태안에 또다른 무너미재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 시도가 안면도 앞바다 신야리 쌀썩은여를 피해서 운항하고자 안면도 운하를 개착한다. 안면도 운하를 뜷기 전까지는 안면도 영목까지 하나로 연결된 육지였다. 본 안면운하가 뜷림으로 인해서 안면도가 섬이된 것이다. 그러니까 안면도는 자연적으로 이루어진 섬이 아니고 인공적으로 운하를 뚫어 섬이 된 것이다.

 

저작권자 © 서산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