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두웅 편집국장

쓴소리를 싫어하는 임금이 있었다. 애초부터 그런 것은 아니었다.

주변의 간신배들과 달콤한 말만 하는 사술가들의 귓속말에 가랑비 옷 젖듯이 그리 되었다.

그러다보니 바른 소리하던 충신들을 멀리하고, 백성들과의 소통은 불통이 됐다.

몸에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속담은 원래 중국에서 유래했다. 그러나 이 말은 의학적 얘기가 아니라 ‘들을 땐 기분 나쁘지만 도움되는 진실된 충고’를 뜻하는 속담이다.

‘직신(直臣)’이란 임금에게 직언하는 신하를 가리킨다. 그런데 이 직신들이 수난이 많았다. 사실 임금들은 사사건건 잘못을 들이대는 직신에게는 피로감이 없지 않았다. 직신은 대개 지금의 언론 역할이었던 간관(諫官)들에게 많았다. 조선 성종 대 문신 채수(蔡壽)는 폐비 윤씨를 옹호하다 미움을 샀다. 그는 관직을 버리고 내려가면서 임금에게 이렇게 아뢴다.

“전하께서 비록 직언(直言) 듣기를 싫어하시더라도 신하로서는 마땅히 끓는 기름 가마솥이라도 피하지 않고 말하는 것이 옳습니다. 임금께서 잘못을 듣기 좋아하지 않으시면 사람마다 다투어 아첨하게 되는 것입니다.”

송강(松江) 정철은 풍류로 살았지만 직신으로 평가된다. 간관으로 있을 때 어명도 거역했다. 명종의 사촌형 경양군이 서얼인 처남을 때려죽인 사건이 발생했다. 정철은 사간원 정언이었는데 임금이 ‘너무 사건을 확대시키지 말 것’을 지시했다. 그러나 정철은 끝까지 안 된다고 버텼으며 결국 명종의 미움을 사 한직으로 좌천됐다.

선조 즉위 후에도 정철의 대쪽 같았던 성품은 변하지 않았다. 선조는 송강의 관직을 삭탈하여 북쪽으로 내쫓았다. 정철은 떠나는 어전에서 ‘아무리 청천벽력과 같은 진노가 계시더라도 신은 말씀을 다 드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라고 뜻을 굽히지 않았다.

인조 때 간원 이성급의 간언이 문제가 돼 좌천될 위기에 빠지자 승정원에서까지 일어났다. “간관은 쓴소리를 하는 직입니다. 이 관직에 있는 자가 침묵한 채 구차하게 용납 받는 것이 충성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직언하여 거리낌이 없는 것이 참으로 임금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중략)… 천둥과 벼락이 치면 꺾이지 않는 것이 아무것도 없으니, 이토록 엄하게 견책하시면 앞으로는 간관으로 있는 자가 전하를 위하여 하고 싶은 말을 숨김없이 할 수 없게 될 것입니다.…”

숙종 대 잇단 정변으로 붕당의 우두머리들이 화를 입자 간관마저 조심하고 임금에게 상소하는 선비들이 없었다. 성군 정조는 이것이 자신과 나라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을 가졌다. 임금은 특별히 교시를 내려 쓴소리를 당부했다. - (전략)… 나라의 흥망은 오로지 언로(言路)의 개폐(開閉)에 달려 있는 것이며 언로가 막히고서도 나라가 망하지 않는 경우는 거의 드물다. (중략) 안타깝게도 신공(臣公)들은 짐을 멀리하여 좋게 보이려고만 할 뿐, 충성스런 말을 하지 않는다. 언로가 폐쇄된 것이 과거에 요즈음 같은 경우가 있겠는가?(의역)…-

현실정치에서 잘못이 있으면 지적해 주고 바르게 잡도록 직언하는 측근이 눈에 띄지 않는다. 아무리 지도자가 과오를 지적해 달라고 유시까지 내린 성군 정조의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더라고 직신이 없으면 소통의 길은 없다. 불통(不通)은 측근들이 만든다.

매일 먹는 밥이 사람의 몸을 바꾼다. 의학계에서는 약 6개월이면 사람의 세포의 성질까지 전체가 바뀔 수 있다고 한다. 하물며 달콤한 속삼임은 채 3개월이 걸리지 않을 것이다.

지도자는 자신의 생각보다 쓴소리를 자주하는 이들을 더 가까이 해야 한다. 매일 먹는 밥에 약이 되는 쓴 반찬을 항상 올려 놓으라는 선조들의 지혜다.

저작권자 © 서산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