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두웅 편집국장

“뭐를 만들어? 마을을 만든다고? 경치는 좋아? 어디야. 바닷가?”

‘마을만들기’가 화두에 오르면 모임에 참석 한 이들중 한 둘은 집을 지으면 한 채 달라고 농을 건네곤 한다.

지금이야 ‘마을만들기’에 대해 일반인들의 이해도도 높아졌지만 초창기에는 전원주택을 짓거나 택지를 개발하는 일인 줄 아는 사람들이 많았다.

마을이란 물리적(공간적)이고 사회적(공동체)인 개념을 포괄한다. 그래서 ‘마을 만들기’란 주민 스스로 또는 주체적으로 마을의 공동체성을 회복하고 주변 환경을 개선하는 일이라고 볼 수 있다.

‘마을만들기’는 지방자치와 그 맥을 같이 한다. 지방자치의 참모습은 마을에서 주민들이 생각을 나누고 함께 결정한 일을 주체적으로 이뤄가는 과정이다. 여기에는 주민을 중심으로 활동가, 마을 공동체, 마을 기업, 중간지원조직, 연구자,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공무원들이 함께 한다.

중앙정부 주최 ‘마을 만들기 전국대회’도 매년 개최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 서산시의 경우는 어떨까? 도로가 만들어지고 기업을 유치하고, 그 어느 지자체보다 산업화가 빨리 진행된 반면, 정작 우리 지역에서 ‘마을만들기’는 없었다. 어쩌면 우리에게 ‘마을’이라는 단어는 사라져 가는 단어였는지도 모른다.

여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무엇보다 ‘마을만들기’가 기업유치와 같이 계량적 성과로 평가되지 않는 까닭이기도, 손에 잡히지 않는 무형의 가치 목표와 과제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마을이 사라지면 어떻게 되는 걸까?

이미 그 현상은 도심을 벗어나 10여분 거리의 농촌으로 들어가면 볼 수 있다. 이농현상을 넘어 초고령화가 만연하고, 들녘에는 젊은이들이 없다. 그러니 아이들이 없고, 학교는 사라지고 있다. 마을 구멍가게도 사라지면서 일명 쇼핑난민이라는 생필품 구하기도 어려운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마을공동체는 무너지고 이웃이 누군인지 관심조차 두지 않는 전원주택들이 하나 둘 늘뿐이다.

문제는 마을공동체의 붕괴가 단순히 한 마을이 사라지는 데서 끝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 과정에는 반드시 경쟁을 강요하는 사회, 안전하지 않은 사회, 갈등이 격화하는 사회의 병폐를 수반한다. 우리가 사라지고 ‘나’만 있으며, 내가 싫으면 언제든지 떠나면 되는 타향이 된다.

인도의 마아트마 간디는 “마을이 세상을 살린다”고 까지 말했다.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말했다. 근본적으로 ‘마을 만들기’는 전원주택 사업도 예전의 새마을운동도 아니다. 소통이 쉽고, 내 생각이 이웃들에게 반영되고, 평화적 방법으로 갈등을 해결할 수 있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자립이 실현되는 공동체성 회복운동이기도 하다.

마을은 지역사회를 지탱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다.

늦었지만 다행히 민선7기 맹정호 서산시장이 취임하면서 서산시 행정도 ‘마을만들기’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앞으로 마을만들기 조례 제정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공론의 장인 마을미디어과 경제단위인 마을기업이 탄생하고, 마을만들기지원센터에는 많은 활동가와 중간지원조직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떠나는 서산이 아닌 돌아오는 서산은 ‘마을만들기’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리 먼 미래가 아닌 시점에 ‘마을 만들기 전국대회’에서 서산시의 이름이 오르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서산시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